티스토리 뷰

Web

1. Html 이론

muru_ 2024. 4. 3. 16:21

* 월드 와이드 웹 (World Wide Web)
-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문서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

* 네트워크 (Network)
- 컴퓨터나 기타 장치들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구조

* 인터넷 (Internet)
-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집합체

* IP (Internet Protocol)
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 중 하나. 
 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나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한
  모든 기기에 IP주소가 할당됨
  IPv4 : 32비트 주소 체계. XXX.XXX.XXX.XXX 형식
     (예: 192.0.0.1과 같이 네 개의 0~255까지의 숫자로 구성)
  IPv6 : 128비트 주소 체계. x:x:x:x:x:x:x:x와 같이 16진수로 표현

* 클라이언트 (Client)
- 서버로부터 서비스나 데이터를 요청하는 컴퓨터 또는 장치

* 서버 (Server)
-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서 엑세스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장치
  클라이언트가 http://www.naver.com를 치면 
  서버는 문서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그 문서를 받아서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음 -> 웹
  IP를 통해 서버 접속 -> 웹서버는 만들어놨던 웹페이지(html)를 찾아서 보내줌 ->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를 통해 봄

* 웹서버(Web Server)
-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들이고,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
  웹서버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웹페이지, 이미지, 동영상, 파일 등을 제공하는 역할

* HTML (Hyper Text Markup Language)
-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마크업 언어

* 마크업 언어 (Markup Language)
- 문서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
  태그(Tag)라고 불리는 특정한 구문을 사용하여 문서의 요소를 표시

* HTML의 특징
- HTML 문서는 .html 확장명으로 저장
- 대소문자를 구별하지 않음
- 문서를 작성할 수 있는 에디터라면 HTML 문서를 작성할 수 있음
- 띄어쓰기, 줄바꿈을 구별하지 않음
- 대부분의 태그는 시작태그와 종료태그로 구성되어 있음
    < 태그 > < /태그 >
   시작태그  종료태그

< html >
< head > < /head >
< body > < /body >
< /html >

* 최초의 웹사이트 (1990년 제작)
https://info.cern.ch/

* 에밋 (emmet)
- html, xml, xsl 문서 등을 작성할 때 빠른 코딩을 위해 사용하는 플러그인
- 원래 젠코딩으로 부르다가 에밋으로 이름을 변경

* !(Enter): html 기본코드 완성

* 익스텐션 (Extensions)
- Live Server
HTML 파일에 대해 로컬 웹 서버를 가상으로 실행하여 웹페이지를 실시간으로 미리 보기할 수 있는 확장 기능

- Auto Rename Tag
HTML이나 XML파일에서 태그를 변경하면 해당 태그의 짝 태그를 자동으로 변경해주는 확장 기능

* HTML 문서 미리보기 : 알트 누르고 있는 상태 + L, O 순서대로 누름 (수정 사항 바로 적용)
  윈도우에서 F12 눌러서 html 코드 보기 -> mac 에서 command+option+i

* HTML 특수 태그
< : &lt;   (less than)
> : &gt;   (greater than)
공백 : &nbsp;    (none breaking space)
<br> : 다음줄로 개행   (break)

* 주석
<!-- 주석을 넣음 -->
제목크기는 css에서 디자인하기때문에 6종류밖에 없음

* 웹 접근성 (Web accessibility)
- 모든 사용자,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컨텐츠를 인식, 이해,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웹 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가르킴
  장애를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웹을 이용하는 데 있어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

* 웹 표준 (Web standards)
- 웹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프로토콜에 대한 권고사항과 규약, 웹페이지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
  준수해야하는 지침이며 구조, 동작, 표현을 정의하는데 사용

<태그 속성="속성값">
속성: 태그를 보완하는 역할, 작은 따옴표 또는 큰 따옴표 사용

 

* ! + Enter 시 나오는 기본 형식
<!DOCTYPE html> : 선언문, HTML5 나타냄
<html lang="en"> : 리더기의 언어를 설정 (en: 영어, ko: 한국어)
<head>
    <meta charset="UTF-8">  : 언어셋을 설정 (예: euc-kr) UTF-8이 전세계에서 지원
    <meta name="viewport" content="width=device-width, initial-scale=1.0">
모바일에서 열어도 화면 크기에 맞게 자동 조정
    <title>목록태그</title> : 제목 표시줄에 텍스트 출력
</head>

* 메타태그
- <meta>: HMTL 문서에 대한 정보를 정의할 때 사용
- <head> ~ </head> 사이에 적용
- name, content, http-equiv, author, viewport, keyword, description 등

* 이미지
1. 비트맵 이미지
- 픽셀이 모여 만들어진 정보의 집합
- 레스터 이미지
- 픽셀 단위로 화면에 렌더링함
- 그림판, 포토샵 등 툴로 편집
- bmp, jpg(jpeg), gif, png, webp ...

2. 벡터 이미지
- 수학적 정보의 형태들이 만들어내는 결과물
- 이미지가 가지고 있는 점, 선, 면의 위치, 색상정보를 가지고 있음
- 확대, 축소를 해도 이미지가 깨지지 않음
- 일러스트 같은 툴로 편집

* JPG(JPEG) :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
- 압축률이 훌륭하여 사진이나 예술분야에 많이 사용
- 가장 널리 쓰이는 이미지 포맷
- 손실 압축
- 표현 색상(24비트, 약 1600만 색상)이 뛰어나 고해상도 표시장치에 적합

* GIF : Graphics Interchange Format
- 이미지 파일내에 이미지 및 문자열 같은 정보를 저장할 수 있는 파일
- 여러장의 이미지를 한 개의 파일에 저장할 수 있음
- 8비트(256 색상) 컬러만 지원
- 비손실 압축

* PNG : Portable Network Graphics
- gif의 대체 포맷으로 개발
- 8비트, 24비트 컬러 이미지 처리
- 알파 채널 지원
- w3c 권장 포맷

* webp : 구 브라우저에서는 호환이 안됨
- 구글에서 만든 가장 완벽한 포맷
- jpg, png, gif를 모두 대체할 수 있는 포맷
- 알파 채널 지원(손실, 비손실)

* 이미지 태그
<img src='파일경로' alt='문자열'>

1. 절대 경로
파일 경로 : /Users/muru/Documents/web/day1
URL : https://www.iconfinder.com/static/img/logo/black_small.svg?eb4fe0853e

2. 상대 경로

- 이미지가 HTML문서와 같은 디렉토리에 있는 경우
<img src = '파일명'>, <img src='./파일명'>


- 이미지가 하위 디렉토리(img)에 있는 경우

<img src='img/파일명'>, <img src='./img/파일명'>


- 이미지가 상위 디렉토리에 있는 경우
<img src='../파일명'>, <img src='./../파일명'>


- 이미지가 상위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(images)에 있는 경우
<img src='../images/파일명', <img src='./../images/파일명'>

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