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모듈 - 모듈을 만들려면 간단히 .py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코드를 작성 - 단순한 함수 뿐만 아니라 변수, 클래스 등도 포함할 수 있음 - 다른 스크립트에서 import 구문을 사용하여 가져올 수 있음 * 파이썬의 모든 파일은 모듈 * interative python notebook : ipynb 1-1. 아래 코드를 파이참에서 작성 후 math_tools.py 파일로 저장 # 변수 PI = 3.141592653589793 # 함수 def add(a, b): return a + b def subtract(a, b): return a - b # 클래스 class Circle: def __init__(self, radius): self.radius = radius def area(self): retu..

주민등록번호 유효성 검사 프로그램 만들기 (조건) 0 0 1 0 1 1 - 3 0 6 8 5 1 8 (유효성 통과 번호) 2 3 4 5 6 7 8 9 2 3 4 5 를 곱하고 더함 (마지막 숫자 제외) 0+0+4+0+6+7+24+0+12+24+20+5 = 102 11로 나눈 나머지 값 ex) 101 % 11 = 3 11에서 위 값을 뺌 ex) 11 - 3 = 8 위 결과가 2자리인 경우, 1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구함 결과값이 마지막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면 유효성 통과 단, 클래스로 설계하고 객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작성 1) 방법 1 (클래스문 사용 x) # 1. 주민등록번호 입력받기 id = input('주민번호 13자리 입력 : ').replace('-','') calc = (2, 3, 4, 5,..

1. 예외 -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문제 또는 오류 상황을 의미 - 예외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은 중단되기 때문에 이를 적절하게 처리하 중단을 방지하거나 오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함 print(10/3) print(5/0) # 에러가 난 다음부터는 진행이 안됨 print(4/2) # 프로그램에 오류가 나더라도 일단 넘기고, 다른 곳에 저장해두기 (로그 남긴다) # 에러도 객체화시켜서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 것 # 기본 형태 try: #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 except ExceptionType1: # 'ExceptionType1'에는 실제 예외 유형이 들어갑니다. # ExceptionType1 # 예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코드 except Exception..

1. 스페셜 메서드 (매직 메서드) - 더블 언더스코어(__)로 시작하고 끝나는 메서드 이름을 가짐 - 특정 구문이나 내장 함수를 사용할 때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 - 예를 들어, 객체에 대해 + 연산자를 사용하면 해당 객체의 add 메서드가 호출 - len() 함수를 사용하면 len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 1) __init__ : 객체 초기화 메서드 2) __str__ : 객체를 문자열로 표현하는 메서드. print() 함수나 str() 함수를 사용할 때 호출. class Book: def __init__(self, title): self.title = title book = Book('미친듯이 재밌는 파이썬') print(book) print(str(book)) # 객체의 특성을 찍어주..

1. 상속 - 상속은 한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다른 클래스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 - 상속을 사용하면 기존의 코드를 재사용하고 확장할 수 있음 - 기본적으로 파이썬의 모든 클래스는 object라는 기본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음 class Parent: # 부모클래스 pass class Child(Parent): # 자식클래스 pass # 클래스 안에 있는 변수를 '속성'이라고 말함 #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를 '메서드'라고 말함 # 클래스 이름은 관례적으로 첫글자를 대문자로 씀 class Animal: def __init__(self, name, age): self.name = name self.age = age def eat(self, food): print(f'{self.name}은(는) {food}..

1. 클로저 (Closure) - 함수와 그 함수가 참조하는 외부 변수(또는 자유 변수) 사이의 관계 - 클로저는 함수의 내부에서 정의된 함수로, 내부 함수가 외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고, 외부 함수는 내부 함수를 반환할 수 있음 - 함수와 그 함수가 참조하는 상태(변수)를 함께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음 # 2곱셈을 하고 싶을 때 def mul2(n): return n*2 print(mul2(5)) # 5곱셈을 하고 싶을 때 def mul5(n): return n*5 print(mul5(10)) ## 더 발전을 시켜서 # __call__ : 곱셈에 대한 내용을 call에 넣음, 곱해지는 결과는 같음, class Mul: def __init__(self, m): print('생성자 호출') self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animation적용
- 닷홈
- CSS
- DB프로그램만들기
- FOR
- 줄 간격
- JavaScript
- 파이썬SQL연동
- 박스사이징
- 고정위치
- __call__
- EPL정보프로그램
- 셋
- MySQL
- 솔로의식탁
- 로또번호생성
- Python
- HTML
- 상대위치
- 리스트
- 변수
- 절대위치
- Enclosing
- trasform
- DB단어장
- 폼
- MySQLdb
- 출력
- 클래스문
- html이론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