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) 출력
* print()
파이썬의 기본 출력 함수, 문자열뿐 아니라 숫자와 연산 가능
print('안녕하세요')
print(10)
print('10')
print(10, 20, 30, 40)
print('안녕', '파이썬') #한칸 띄어짐
print('안녕', '파이썬', sep=' ', end='\n') #기본 옵션
print('안녕', '파이썬', sep='★', end='\t')
print('안녕', end='🤞')
print('python')
* escape 문자
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.
백슬래시(\)로 시작
print('안녕하세요\n파이썬')
print('이름:\t황동현')
print('백슬래시 표현할 땐 \ 두번입력 : \\')
print("'작은따옴표 출력'")
print('"쌍따옴표 출력"')
print("\"앞에\써주기\"")
* 출력서식 지정
%d : 정수
%f : 실수 (%.4f : 소수점 4번째까지)
%s : 문자열
print('정수 :', 100)
print('정수 : %d' %100)
print('실수 : %d' %100.512)
print('실수 : %.4f' %10.523)
print('문자열 : %s' %'파이썬')
print('문자열 : %s' %100)
print(f'정수 : {100}')
print('5 + 3 = 8')
print('%d + %d = %d' %(5,3,5+3))
print('이름: %s, 나이: %d' %('사과',20))
print('몸무게: %.2f' %50.12342)
print('내친구: {} {}'.format('오렌지', '바나나'))
* 주석문
# 주석문, ```주석문 ``` 사용
print('파이썬 출력') #문자열 출력은 '' 혹은 "" 사용
'''
여러 줄 주석
큰 따옴표 3개 또는 작음 따옴표 3개 사이에 작성
여러줄에 걸쳐 설명 작성 가능
'''
2) 변수
변수는 이름이 붙은 메모리 공간으로, 값을 저장하거나 참조할 때 사용.
#변수는 영어로 선언하는 게 좋음
name = '사과'
age = 20
weight = 71.4
isLover = False
print(name, age, weight, isLover)
# 타입 확인
print(type(name)) # str
print(type(age)) # int
print(type(weight)) # float
print(type(isLover)) # bool
del isLover # isLover라는 변수가 지워짐, 메모리 값은 남아있다가 가비지콜렉터가 나중에 지워버림
print(isLover)
3) 문자열
문자열은 작은 따옴표(')나 큰 따옴표("), 세 개의 따옴표(''', ''')로 둘러싸인 텍스트로 표현.
str1 = '오늘도 즐거운 파이썬 수업'
print(str1)
str2 = '오늘도 즐거운 파이썬 수업'
print(str2)
str3 = '''김사과 :
오늘 수업 정말 즐겁네요
그렇죠?'''
print(str3)
* 문자열 재할당
같은 변수에 문자열을 재할당하는 경우, 새로운 문자열 객체가 생성되고 변수는 새로운 문자열 객체를 참조
a = 'Hello'
b = a + '.python!' #문자열이 변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문자열이 생성
print(b)
* 문자열 함수
- 문자열 길이 확인
# len()
text = 'Hello. Python!'
print(len(text))
- 문자열 합치기
name = '김사과'
age = '20살'
msg = name + '.' + age
print(msg)
- 문자열 반복하기
apple = '🍎' * 10
print(apple)
- 문자열 인덱싱/슬라이싱
str1 = '문자열 내부의 문자에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하거나 슬라이스할 수 있습니다.'
print(str1)
# 인덱싱
print(str1[0])
print(str1[1])
print(str1[12])
print(str1[-2])
# 슬라이싱
print(str1[0:6])
print(str1[8:16])
print(str1[:16]) #처음부터 116까지
print(str1[8:]) #8부터 끝까지
print(str1[:]) #전부
- 문자열 메서드
1) upper()와 lower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text = 'Hello. Python!'
print(text.upper()) #대문자 변환
print(text.lower()) # 소문자 변환
2) count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rint(text.count('o')) # o가 쓰인 횟수
print(text.count('ll'))
3) find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rint(text.find('o')) # 문자열의 첫 번째 등장 위치(인덱스) 확인
print(text.find('ll'))
print(text.find('z')) #없으면 -1
print(text.rfind('o')) #오른쪽에서부터 찾음
print(text.find('o',6)) #인덱스 6이후부터 찾음
4) replace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new_text = text.replace('Python','World') #Python을 찾아서 World로 대체
print(new_text)
5) strip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rint(text.strip()) #양쪽 공백 제거
'apple' == 'apple '.strip()
6) split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text = '김사과 반하나 오렌지 이메론'
names = text.split() #공백을 기준으로 분리
print(names)
text = '김사과,반하나,오렌지,이메론'
names = text.split(',') #쉼표를 기준으로 분리
print(names)
7) join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text = 'Hello'
print('🍿'.join(text)) #값들 사이에 구분자 넣어줄 때 유용
8) startswith(), endswith() 함수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rint(text.startswith('Hello')) # Hello로 시작하는지 True or False
print(text.endswith('Python!')) # Python! 으로 끝나는지 True or False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파이썬의 컬렉션 타입 - 세트, 딕셔너리 (0) | 2024.03.18 |
---|---|
5. 파이썬의 컬렉션 타입 - 리스트, 튜플 (0) | 2024.03.13 |
4. (과제1) 실수 연산에 관하여 (0) | 2024.03.12 |
2. 구글 코랩(Colab)이란 (0) | 2024.03.11 |
1. 파이썬(Python)이란 (0) | 2024.03.1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nimation적용
- CSS
- 파이썬SQL연동
- 솔로의식탁
- EPL정보프로그램
- JavaScript
- Python
- 고정위치
- trasform
- 셋
- html이론
- 줄 간격
- MySQLdb
- __call__
- 박스사이징
- 로또번호생성
- 폼
- 클래스문
- Enclosing
- DB프로그램만들기
- 출력
- HTML
- DB단어장
- 상대위치
- 절대위치
- 닷홈
- MySQL
- 변수
- 리스트
- FO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